대구 북구, ‘도시 어매너티’로 글로벌 도시브랜드 대상 수상 > 언론보도

본문 바로가기

언론보도

대구 북구, ‘도시 어매너티’로 글로벌 도시브랜드 대상 수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북구도시재생지원센터
보도일2025.09.08

본문

<article id="article-view-content-div" class="article-veiw-body view-page font-size18" itemprop="articleBody" style="box-sizing: inherit; display: block; text-align: left; font-size: 1.125rem; margin-bottom: 5rem; color: rgb(0, 0, 0);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tyle: normal; font-variant-ligatures: normal; font-variant-caps: normal; font-weight: 400; letter-spacing: -0.5px; orphans: 2; text-indent: 0px; text-transform: none; widows: 2; word-spacing: 0px; -webkit-text-stroke-width: 0px; white-space: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decoration-thickness: initial; text-decoration-style: initial; text-decoration-color: initial; height: auto !important;"><div style="box-sizing: inherit; margin: 0px; padding: 0px; text-align: center;"></div></article><h2 class="subheading" style="box-sizing: inherit; margin: 0px 0px 1.875rem; padding: 0px 0px 0px 1rem; font-weight: 500; text-rendering: optimizelegibility; font-size: 1.063rem; line-height: 1.5;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display: block; font-style: normal; border-left: 3px solid rgb(51, 51, 51); word-break: normal; overflow-wrap: break-word; color: rgb(0, 0, 0); font-variant-ligatures: normal; font-variant-caps: normal; letter-spacing: -0.5px; orphans: 2; text-align: left; text-indent: 0px; text-transform: none; widows: 2; word-spacing: 0px; -webkit-text-stroke-width: 0px; white-space: normal;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decoration-thickness: initial; text-decoration-style: initial; text-decoration-color: initial;">12년 도시 어매너티 철학 ‘금호강 르네상스’ 열어</h2><div><br></div><div><span style="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대구 북구가 도시재생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면서 연이어 대상을 수상했다. 배광식 구청장의 “도시 경쟁력은 어매너티(amenity)”에서 나온다는 12년 철학의 결실이기도 하다. 도시 어매너티는 도시의 쾌적하고 매력적인 환경이나 기분 좋은 상태, 정주조건 등을 아우르는 종합적 의미의 새로운 개념이다. 배 구청장은 도시재생&nbsp;분야에서의 추진력을 인정받아 지난 8월25일 시사저널이 주최한 굿시티포럼(GCF) 2025의 ‘글로벌 도시브랜드 대상’ 국가대표 도시재생 부문 대상을 수상했다. 북구는 앞서 국토교통부 주관 ‘도시재생 종합 성과 평가 경진대회’에서도 대상을 수상한 바 있다.&nbsp;</span><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북구는 과거 &nbsp;3공단과 칠성동, 제일모직 등을 중심으로 대한민국의 산업화에 크게 공헌한 지역이었다. 하지만 1990년대 중반 들어 대구 경제의 중심이 이동하고, 원도심 노후화가 가속화되면서 상대적 쇠퇴를 겪기 시작했다. 이후 ‘옛 영광 회복’을 기치로 내건 민선 6기 배광식 호(號)가 출범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북구는 오랫동안 구도심으로 남아있던 이곳이&nbsp;2024년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서&nbsp;현재 금호강 르네상스를 열어가고 있다.&nbsp;</span><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구는 삼성그룹 태동지로 옛 삼성상회 건물을 복원해 역사문화 공간으로 재탄생시키고,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를 조성해 청년 기업가를 양성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금호강 일대에 생태탐방로와 조류관찰대, 전망대 등을 조성하며 친환경 수변도시로 거듭났다. 이 같은 성과로 앞서 두 번의 수상과 함께 대구시가 주관하는 추진 실적 평가에서도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도시재생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span><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주요 도시재생 사업으로는 △침산1동 주거지 지원형 도시재생 사업(2024 국토부 도시재생 종합 성과 평가 경진대회 대상) △산격3동 중심시가지형 도시재생 사업 △복현1동 우리 동네 살리기 사업 등이 있다. 이 같은 사업을 추진해 북구는&nbsp;2020년 복현유사와 마을아카이빙 사례로 국토부 도시재생 우수사례 우수상&nbsp;, 2022년 국가균형발전위원회 주민참여 공동체 활성화 부문 표창, 2023년 문화체육관광부 전국 우수사례 최우수상을 연이어 수상했다.&nbsp;</span><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특히 북구&nbsp;관음동은 도시재생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주는 사례다. 이 지역은 1993년 택지개발 이후 30년 넘게 개발에서 소외돼 왔던 곳이다. 하지만 최근 반려동물 문화 확산과 함께 관련 산업의 성장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구는 관음동을 반려동물 친화마을로 탈바꿈시키는 ‘지역특화 도시재생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주요 거점 공간으로 관음더하모니센터와 관음동물사랑교육센터를 조성 중에 있다. 관음더하모니센터는 반려동물에 필요한 것을 한 공간에서 해결하는 복합힐링센터다. 현재 관음동 공영주차장 부지에 조성될 4층 복합건물 1·2층에 들어설 예정이다. 북구는 최근 이 같은 도시개발 성과와 함께 광복 후부터 북구 80년 변화와 미래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다큐멘터리·사진전 ‘사통팔달로 通하다’를 성황리에 개최한 바 있다.</span><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span style="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배 구청장은 앞서 시사저널 주최 시상식에서 “북구는 대한민국 산업화가 태동한 공업도시였다. 대구 산업 지형이 바뀌면서 도심 공동화 현상이 심화됐고, 다시 살아나는 길은 도시재생밖에 없다고 판단했다”면서&nbsp;“새로운 아파트와 건축물을 세우기보다 기존의 건물과 공간을 활용해 지역 주민들이 살고 싶어 하고, 외부에도 유입되는 자랑스러운 도시가 됐다”고 밝혔다. 이어 “북구의 도시재생사업은 각각의 동네가 가진 고유한 특성과 자산을 존중하고 반영하는 지역 맞춤형 전략으로 진행되고 있다. 도시재생은 더 이상 ‘어디서나 똑같은’ 변화가 아닌, ‘그 지역만의 색깔을 살리는’ 변화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span><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span style="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한편 지난 8월25일 서울 중구 페럼타워에서 있은 시사저널 주최 ‘굿시티포럼(GCF) 2025’에서는 ‘글로벌 도시브랜드 대상 2025’ 시상식이 함께 진행됐다. 이 상은 지속가능한 브랜드로 국가 관광산업에 이바지하고 세계적 도시브랜드로서의 가치 공유 등 각고의 노력을 해온 도시에 수여된다. 이번 시상에는 지역소멸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해 도시를 다시 흥겹게 하고 국가 경쟁력에 이바지한 8개 지방자치단체(지자체)가 ‘국가대표 도시브랜드’로 선정됐다. 심사위원장을 맡은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과 교수는 “이번 심사는 각 도시가 가진 고유의 정체성과 차별화를 통해 세계 속에서 어떻게 자리 잡았는지를 중점적으로 봤다”며 “도시 브랜드의 혁신성과 지속가능한 전략을 가졌는지, 단기적 성과보다는 장기적 실행력이 있는지를 주목했고, 다각도 논의를 거쳐 최종 수상자를 결정했다”고 평가했다.</span><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br style="box-sizing: inherit; font-family: Roboto, &quot;Noto Sans KR&quot;, sans-serif; font-size: 16px; letter-spacing: -0.5px;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nbsp;</div>

* 기사 바로가기 버튼을 클릭하면, 기사 원문으로 이동됩니다.